영광군이 추진한 치매전담요양원 건립사업이 중단할 위기이다. 군이 설계까지 마친 군 최초의 치매전담요양원 건립사업은 행정이 중심을 잡지 못하고 갈지자 행보를 보이면서 사업 향방을 어렵게 만들었다.
영광군 노인요양시설은 10여곳 운영되고 있으나 치매전담병원은 없는 현실이다. 치매는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감소하여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임상 증후군을 의미한다. 치매에는 알츠하이머병이라 불리는 노인성 치매, 중풍 등으로 인해 생기는 혈관성 치매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병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치매 환자는 100만명을 돌파했다. 65세 이상 인구 중 치매 유병률이 11%로, 65세 이상 10명 중 1명은 치매 환자인 셈이다.
정부도 선제적 예방관리를 위해 치매 예방 목적으로 운동프로그램 대상을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진단자까지 확대하고 있다. 노인들에게 인지 건강 운동을 제공하는 건강 백 세 운동 교실도 현재보다 2배 이상 대폭 늘리고 치매 전담병원 등 공공요양시설을 확충해 나가고 있다. 우리 지역의 작년 말 인구수는 2018년보다 2,100여 명이 줄었다. 그러나 65세 이상 노인은 1,600명이 늘어났고, 등록된 치매 환자 수만 2,068명으로 963명이나 늘었다.
시대적으로 어린이는 부족하고 노인 인구가 늘어나는 현실 속에서 치매 환자 수 증가는 계속 높아질 것은 자명하다.
이 때문에 문재인 정부가 치매국가책임제 정책을 시작했다. 치매국가책임제는 고령사회를 맞아 증가하는 치매 질환을 국가가 책임지고 관리하겠다는 정책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2017년 대선 공약을 정부가 2018년부터 시행했다.
치매 환자와 가족이 지는 경제적·정서적 부담을 지역사회 인프라와 건강보험 제도를 통해 국가와 사회가 나눠지겠다는 취지다.
치매환자 때문에 고통받고 있는 가족들에게 단비와 같은 정책으로 지역사회에서도 적극적으로 환영했다. 영광 치매센터와 전담요양시설도 국가 정책에 따라 치매 환자 예방·치료를 담당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치매센터는 문을 열었으나 후속 사업인 치매전담요양시설은 한차례 반납 후 2019년 다시 사업비까지 확보해 놓고도 시간만 끌다 2차례나 연장 기한을 넘기면서 올 1월 국비 반환 통보를 받았다. 이는 부지와 설계 과정 문제도 있으나 운영권자를 둘러싼 정치적 행보와 판단이 개입되면서 이 지경으로 만들었다는 지역사회 지적을 따갑게 들어야 한다. 치매전담시설은 재원 문제에 밀리거나 특정 세력의 이권에 좌우되기보단 치매 환자와 가족을 위한 희망이 되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