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11일은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가 일어난 지 14년 되는 날이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오염수가 지금도 발생하는 현재진행형이다. 우리 지역에서 큰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어도 인재에 의한 각종 사고로 인해 우리들의 가슴을 쓸어내린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2019년 5월 10일 한빛 1호기에서 원자로 출력이 18%까지 상승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출력 급상승에 따라 냉각재 온도와 증기발생기 수위 또한 상승했고, 일부 단체 등에서는 1986년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를 거론하며 비슷한 사고로 이어질 뻔했다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었다.
그런데도 이를 즉각 원안위에 보고하지 않고 12시간 가까이 운전을 정지하지도 않았다는 사실은 우리를 놀라게 했다.
한빛원전에서는 2017년부터 3·4호기 격납건물에서 내부철판 부식과 콘크리트 공극이 대량 발견됐다. 전국의 원전 격납건물 조사 결과 결함의 약 75%가 한빛 3·4호기에서 집중된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형 원자로인 한빛 3·4호기 건설을 우리 기술진의 설계와 시공으로 드러난 문제점은 큰 충격을 던져 주었다.
건설 과정의 무리한 야간작업과 무허가 콘크리트 공장 운영, 겨울철 콘크리트 타설, 현장 즉석 설계 변경, 관리·감독 부재 등 불법 부실 공사로 인한 결과물이란 지적이 나오는 이유였다.
지역민들의 반발로 가동이 중단되고 약 수년동안 보수공사를 거쳐 한빛 3·4호기는 재가동하여 발전을 계속하고 있지만 불안한 마음은 사라지질 않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 문재인 정부의 탈핵 선언은 윤석열 정부 들어 무너지고 원전산업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2038년까지 신규 대형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전(SMR) 1기를 신설하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정부의 원전산업 살리기는 이해된다. 그러나 원전 발전의 연속성은 핵페기물 대책이다. 아무런 대책 없이 원전 발전을 계속하는 것은 후손들에게 핵폐기물만 남겨주는 무책임한 행위이다. 최근 체고원전 수주과정에서 핵연료 사용 후 재처리 기술을 요구했다고 알려졌다. 유럽국가들이 원전에서 발생하는 핵폐기물의 심각성을 제시하면서 그 대책을 서두르고 있다는 정황이다. 미국이 우리나라의 재처리를 불허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가득 차고 있는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리시설 부지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체르노빌에 이은 최악의 일본 후쿠시마원전 사고가 발생한 지 14년이지만 후속대책이 아직도 멀었다니 실망스럽다. 원전의 기본은 안전임을 재확인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