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에 짝퉁부품 납품사건 또다시 발생해 충격을 주고 있다.

한빛원전에 납품된 스웨덴 제품 베어링 314개 중 92개가 납품 서류를 위조한 짝퉁부품으로 나타난 것이다.

짝퉁부품 사건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2년 대규모 짝퉁부품 사건으로 원전산업이 뿌리째 흔들렸다. 2018년에는 프랑스제 비상 디젤발전기 부품 사건으로 원전 안전성에 엄청난 충격파가 던져졌다.

당시 납품업체들은 20083월부터 4년 동안 미국 품질보증기관의 품질보증서를 위조해 수억원의 부당 이득을 챙기고 입찰에서 담합하는 것은 물론 원전직원과 짜고 자재를 빼돌리고 뇌물을 제공했다.

뇌물을 받고 이들의 불법행위를 눈감아 주면서 짝퉁부품을 납품받은 한수원 직원 2명은 실형이 선고됐다.

문제는 한수원의 시스템 구조상 명확한 조사와 원천적인 대책을 세우지 못하면서 2018년에 또다시 비상발전기 짝퉁사건이 발생했다.

이후에도 한수원의 납품비리는 계속되면서 수많은 원전직원과 납품업자들이 사법처리를 받았으나 짝퉁 사건은 계속되고 있다.

이번에는 짝퉁 베어링 사건이 터지면서 기존 대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원전의 납품 비리가 끊이지 않는 것은 한수원이 공기업인데도 보안과 기술누출을 이유로 내부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 등 핵산업계 특유의 폐쇄성에 기인한다.

짝퉁부품 사건은 원전산업 특유의 폐쇄성이 자연스럽게 비리 사건과 은폐로 이어질 수 있단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수사의 범위와 대상을 전체로 확대해 발본색원해야 한다.

짝퉁부품과 중고부품 등을 계속 사용한다면 원전 안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와 같은 거대 사고의 확률이 점점 높아질 수도 있음을 재인식해야 한다.

재발 방지를 위한 원전산업 전체의 투명성과 원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범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고 수립해야 한다.

국가 경제 차원에서 원전의 필요성은 인정된다. 그러나 원전의 안전성은 너무나 중요하다. 한 번의 사고는 상상을 초월하는 피해로 이어진다.

영광군민들은 매번 안전가동을 주장했다. 한빛원전은 사건과 사고가 발생하면 안전가동 입장을 반복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문제부터 신뢰 구축이 절실하다.

한빛 1·2호기 수명연장도 안전가동 신뢰를 상실하면 멈춰야 한다. 사용후핵연료 임시보관시설 문제도 군민들과 합의 후 진행해야 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