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이 한빛원전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종합처리시설 지반조사용 굴착신고를 2일 승인했다. 처리시설은 기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임시저장고 인근에 잡고체 및 농축폐액과 폐수지, 드럼 재포장, 건조폐기물 포장, 대형폐기물을 저장·처리한다.

현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은 21,192드럼이 저장돼 포화율은 80.2%이며, 그동안 교체한 원자로헤드 3대와 증기발생기 8대 등 대형방폐물이 11대로 별도의 처리 과정을 마무리하지 못해 장기보관하고 있다.

한빛원전은 처리시설이 완공되면 축소 또는 재포장 등 처리 과정을 거쳐 경주 방폐장으로 이송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중저준위 폐기물도 완벽하게 처리 과정을 거친 드럼통만 경주로 이송하는 격으로 우리 지역은 보관료 등 아무런 혜택도 없이 장기간 중저준위 폐기물을 관리하고 보관만 하는 모양새이다.

군과 군의회는 한빛원전 안에 임시보관 중인 중저준위페기물과 사용후핵연료의 보관료 징수에 관한 집중적인 연구와 여론형성을 추진해야 할 시점으로 파악된다.

중저준위보다 위험도가 높은 사용후핵연료의 임시저장시설도 가시화될 것이다. 군의 이번 중저준위 처리시설 신고 승인을 곧바로 처리한 행정행위를 비추어 볼 때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의 행정대응도 의구심이 든다.

사용후핵연료는 수조에 넣어 보관하는 습식저장시설이 대부분이며, 건축물에 보관하는 건식저장시설은 월성원전이 먼저 운용하고 있다. 습식 보관 사용후핵연료는 어두운 공간에도 체렌코프 현상으로 신비한 푸른빛의 방사선을 계속 내뿜고 있는 진행형이다.

현재 한빛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습식 저장시설은 2030년이면 포화상태에 이른다. 이 때문에 고준위방폐장법은 에너지 3법에 포함 국회를 통과하고 정부가 시행령을 준비하고 있다.

정부가 영구저장시설 부지 선정에 실패하면 영광도 임시시설이 자칫 핵폐기장으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경북 경주시가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 증설에 따른 한수원 지원금 750억원 중 280억원을 시가 쓰고 420억원을 3개 읍면에 배분키로 했다는 소식이다. 시는 공공 의료지원 체계 구축, 한수원 축구단 훈련센터 건립 지원, 삼중수소 자원화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리 지역도 한빛원전과 관련된 현안으로 미래를 바꾸는 지혜가 필요하다. 최근 대선 캠프에 건의한 영광발전 프로젝트를 연계해 성과를 만들어 내야 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