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즈카페·긴급돌봄·공동육아·아빠휴직 장려까지

“지역공동체가 함께 성장하는 모델 만들어가겠다”

영광군이 아이 키우기 좋은 영광으로 거듭나고 있다. 단순한 시설 홍보를 넘어, 돌봄 인프라와 육아 친화 정책을 통해 지역 이미지를 새롭게 구축하려는 영광군의 방향이 주목된다.

특히 영광군이 전국 최고 출산율을 6년째 지켜내는 저력은 돌봄의 일상화, 생활 속 복지에 답이 있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실제로 영광군의 합계 출산율은 1.71명으로, 전국 평균(0.75)의 두 배를 넘는다. 그 배경엔 군이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를 위해 추진해온 생활밀착형 복지정책이 있다. 출생 기본수당, 육아용품 지원, 첫 만남 이용권, 다둥이 가정 지원 등 경제적 지원뿐 아니라, 현장에서 바로 체감할 수 있는 돌봄 인프라를 확충한 것이 주효했다.

대표적으로 오는 9월 본격 운영을 앞둔 우리 아이 긴급·일시돌봄터가 있다. 맞벌이 가정이나 돌봄 공백이 발생할 때, 3~12세 아동을 돌봐주는 시스템이다. 같은 시기 이전 예정인 장난감도서관공동육아 나눔터는 부모와 아이가 함께 어울리는 놀이문화, 공동체 기반 육아를 지원한다.

또한, 영광군은 영광형 키즈카페건립을 본격화했다. 지난달 영광형 키즈카페 건립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 수립 착수보고회를 열고, 접근성·유형·수요를 여러모로 검토 중이다. 미세먼지·혹서기에도 안전하게 놀 수 있는 실내 놀이시설을 통해 보호자와 아이 모두의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용역을 통해 소규모 실내 놀이터부터 테마파크형까지 최적의 모델을 도출할 방침이다.

주민 참여도 주목된다. 어린이집연합회, 청년센터, 교육지원청 등 지역기관과 협력해 설문조사, 원탁회의를 열고 실수요자 의견을 반영한다. 이를 통해 단순히 공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아이 키우기 좋은 지역 브랜드를 구체화하고 있다.

군의 돌봄 정책은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처럼 가족 내 역할 균형까지 고려한다. 육아휴직 중인 아버지에게 지급되는 이 지원은 가사·돌봄의 공동책임을 강화하며, 정서적 유대와 지역 출산율에도 긍정적 효과를 주고 있다.

영광군의 생활밀착형 가정복지는 단순히 아이를 돌보는 것을 넘어서 지역 전체의 미래를 설계한다. ‘지속가능성이 중요 과제로 꼽힌다. 예산의 안정적 확보, 현장 중심 피드백, 주민참여형 운영모델이 뒷받침돼야 한다. 특히 고령자·한부모·위기가정 등 돌봄의 사각지대까지 보완이 필요하다.

그런데도 영광군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출산율을 기록하며, ‘아이 키우기 좋은 지역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군 관계자는 영광형 키즈카페를 포함해 다양한 돌봄 인프라가 아이를 낳고 기르기 좋은 지역의 기반이 될 것이라며 돌봄과 놀이, 지역공동체가 함께 성장하는 모델을 만들어가겠다라고 말했다.

영광군의 생활밀착형 돌봄 지역비전은 이제 본격적으로 시험대에 올랐다. 이 비전이 지속할 수 있는 성공으로 이어질지, 주목할 만하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