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진 법성문화진흥원 고문

조선총독부가 산미 증산계획의 미명 아래 서해안 지역에 대규모 간척 사업을 벌이자, 일본 가와사키 재벌이 법성포에 설립한 <전남농장>은 법성 진내리와 홍농 칠곡리 사이로 들어오는 바닷물을 막기 위해 둑을 쌓고, 250여만 평 규모의 간척지를 개간했다. 이 둑이 현재 국가가 관리하는 <전남방조제>. 192572, 준공되었으니, 올해가 딱, 준공 100년 되는 해다.

나루에서 차도로도로망의 시작점

1935년에 이르러 길이 약 580미터의 이 방조제 둑방 길은 차도를 겸해 법성과 홍농을 잇게 된다. 그전까지 주민들은 <목맥나루><샘목나루>를 이용해 나룻배로 왕래했는데, 이 둑방 길이 생겨 옛 법성 서부 농협에서 월랑대를 지나 이 둑방길로 가마미까지자동차가 오갈 수 있게 되었다.

법성과 홍농 사이는 1928<샘목나루>에 보행 전용인 <인도교>가 간이로 세워졌고, 이후 이 다리는 <을진교>, 2010년엔 2차선 <을진신교>로 확장되었다. 1970년에는 법성 금메와 홍농 우봉 구간을 건너던 줄배 나룻길에 <연우교>가 들어섰다. 이 다리 이름은 고() 박경원 전 내무장관의 아호인 연우(蓮牛)’를 따서 지었다. 법성포 내에서 홍농 사이의 연우로또한 그의 애향심과 지역 발전의 지대한 공을 기리기 위한 도로명이다. 이후 원전 건설과 다리의 구조적 문제로 1981년에 <홍농교>가 가설되어 <연우교>는 도로공원으로 재정비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 법성과 홍농 간의 도로망은 2023년에 국지도 15호선이 4차로로 개통되면서 지금과 같은 도로망이 형성되었다.

지도에서도 포털에서도 전남방조제란 고유명이 없는 현실.

이렇게 법성-홍농 도로망의 효시가 된 이 방조제를 일제강점기에는 <목맥언(木麥堰)>이라 표기하였고, 이 고장 사람들은 <뚝방길> 또는 <언뚝>이라 하였다. , 갑문 지붕이 붉은색으로 보여 <붉은 다리> 또는 멀리서 보면 검은색으로 보여 <검은 다리>라고도 하였다.

되돌아보면, <전남방조제>의 탄생으로 법성과 홍농을 가르는 구암천 주변은 경작지 등으로 변했고, 홍농의 우봉, 상봉, 하봉, 법성의 삼당, 발막 그리고 전북 공음의 회룡 지역의 소금밭이 사라졌다. , 법성 검산, 홍농 칠곡, 전북 공음에 두암저수지가 생겼다, 더불어 공음면 두암리의 수몰로 이곳에 사는 사람들이 법성면 화천리로 이주하여 두암 마을 사람들이 새로 잡은 터라 하며 마을 이름을 <신두암>이라 하고 새 삶터를 일궜다. , 방조제 주변에는 일터를 찾은 사람들이 머물러 <자갈금> 마을을 형성하였다. 공사에 필요한 암석 발파 현장이었던 이곳은 자갈이 많아 처음에는 자갈이 많은 구미()’라 하여 <자갈게미>라 하였다가, 1961년에 <자갈금>마을로 법정 고시되었고, 1970년에 행정 지명인 <진내 3>가 되었다. , 당시의 언론들이 사업 주체인 <전남농장><川崎(천기)농장>이라 하였고, 이 고장 사람들도 <가와사키농장>이라 하지 않고 <천기농장>이라 하였던 법성리 일대는 광복 후에 <농장> 마을이 되어 1985년부터 행정 지명인 <법성5>가 되었다.

하지만 이처럼 변화의 흔적만 남긴 게 아니다. 잔인한 천기농장과 백의 노동자의 참경, 수백 명 고용에 수천 명 위집, 삭전을 받아야 밥값도 못되어, 물경! 부상자 위로금 1, 준공 한 달을 앞두고 수문에 휘말려 30여 명이 일시에 익사라는 당시의 언론보도가 말해주듯 이 방조제의 공사 현장은 온 나라의 이목이 쏠렸던 비참하고 끔찍했던 현장이었다.

준공 100년이 지난 지금, <전남방조제>라는 고유명은 지도에 색인되어 있지 않다. 인터넷을 검색해도 답이 없다. 당연히 인공 지능에서도 정보를 얻을 수 없다. 심지어 <영광군 관광지도>에는 <구시미나루>라고 표시되어 있다. 명색이 국가관리 방조제인데 안타까운 현실이다.

법성향지(법성문화진흥원, 2024년 발간)산업유적편에 소상히 기록되어 있는 이 방조제의 100년 역사를 10만여 평에 이르는 주변 유수지와 함께 자원으로 활용할 수는 없을까? 관리 주체인 국토부와 농축산부(한국농어촌공사)에 미루지 말고, 이용계획 협의 주체인 영광군에서 앞장서 <해설표지판> 세우는 일부터라도 시작해 보면 어떨까? 큰 기대 없이(?) 권해 본다. ()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