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이 추진 중인 해상풍력 발전사업에 대한 이해충돌이 상당하다. 최근 영광군이장단협의회는 성명서를 내고 영광군 어민을 빙자한 단체가 지난해부터 벌이고 있는 불법행위를 비난했다. 성명서는 해상풍력발전사업 피해가 송전선로 설치구역 등 일부 지역에만 해당하는데도 이와 상관없는 맨손 어업인들까지 끌어들여 전체 맨손 어업인에 대한 보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 특히 바다와 갯벌은 영광군민 모두의 자원인데도 이들은 마치 자기들 소유물처럼 행동하고 있으며, 해상풍력 사업으로 생기는 이익을 모든 군민이 함께 나눠야 하는데도 자기들만 독차지하려 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지난해부터 우리 지역은 해상풍력이 최대 이슈이다. 이미 발전허가를 취득한 낙월해상풍력은 약 23,000억원을 투입 14MW급 터빈 64기의 시설 공사를 시작해 2026년 중순부터 상업 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과정에 일부 단체들이 특혜와 이권 개입 의혹을 제기해 논란이 됐지만, 허가권은 다른 곳으로 넘어가 공사가 진행 중이다. 그리고 장세일 군수 취임 이후에는 특정 개인들이 차지한 이익금을 군민 모두가 함께하는 광풍연금을 앞세워 새로운 방향의 풍력발전 사업을 제시했다.

영광군의 방침에 군민 대다수가 공감하고 환영하고 있다. 태양광과 해상풍력 기반의 광풍 연금은 전남 유일의 에너지 기본소득 시범도시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최근 안마해상풍력 발전사업 공유수면점사용도 군이 허가했다. 45,000억원 규모로 14급 발전기 38기를 설치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주민참여형 해상풍력 프로젝트이다.

군과 어업인 대표, 사업자 측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30회 이상 어업인 의견을 수렴하였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또 다른 어민 단체에선 허가 철회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고 군을 비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이장단협의회가 구원 투수로 나서 영광군 해상풍력 발전사업 사업설명회를 열고 해상풍력 개발이익을 군민과 어떻게 나누는지 방안 등을 논의했으나 갈등해소 여부는 미지수이다.

군이 앞으로 해상풍력 이익금을 둘러싼 이견들을 어떻게 조율할지 의문이지만 분명한 건 특정 단체와 특정인의 소유물이 아닌 군민 모두가 함께하는 상생 방안을 만들어 내야 한다.

군과 군의회가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활용한 이익공유 세부 방안에 엇갈린 의견도 주목된다. 왜 군의회 일부가 사업자를 옹호하는지도 궁금하다. 사업자 부담을 줄여 참여를 높이려는 취지겠지만 일각에선 의심의 눈초리도 있다.

물론 다른 의견과 부작용에 대한 우려는 필요하다. 군민 모두의 기본소득을 대전제로 모든 정책이 결정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