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범군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3년여 만에 활동을 재개하고, 원전 현안에 대한 공세에 나섰다. 범대위는 25일 공동위원장, 집행위원 연석회의를 열고, 당면한 한빛원전 문제에 대한 성명을 발표하고 한수원과 한빛원전에게 수명연장과 임시저장시설 추진 중단을 요구했다. 한빛원전의 당면 현안은 두 가지이다. 고준위폐기물 임시 건식 저장시설 대책과 한빛원전 1,2호기 수명연장 대책이다.

첫 번째 고준위폐기물 임시 건식 저장시설 문제는 지난 40년 동안 원전가동으로 발생한 고준위폐기물의 저장 능력이 한계점에 이르자 임시방편으로 영광 땅에 고준위폐기물을 저장하겠다며, 굴착허가까지 완료한 상황이다.

정부는 최근 고준위방사성폐기물 특별법을 제정하고 2050년에 중간저장시설을 2060년까지 영구처분장 시설을 강조하고 있으나, 앞으로 13년 후인 2038년까지 영구처분장 부지선정을 완료해야 한다.

만약 2038년 부지선정에 실패할 경우 영구처분장 건설은 어떻게 돌아갈지 아무도 모른다. 이 경우 영광 땅에 보관되고 있는 고준위폐기물은 몇십 년, 몇백 년 아니 영원히 영광 땅에 보관할 수도 있다.

범대위는 영광군에 주민들의 동의도 없는 임시저장시설 터파기 공사 허가의 즉각 취소를 요구했다. 특히 임시저장 기간을 군민들에게 명확히 제시하고 이를 어길 시 한빛원전의 가동 중단을 주장했다.

두 번째는 한빛원전 1,2호기의 수명연장 중지이다. 올해 1240년 설계수명을 다하는 한빛 1호기와 내년 9월 만료되는 2호기의 수명연장 추진은 지역민의 안전은 외면하고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한 부당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한빛원전은 그동안 원자로 헤드 구멍, 짝퉁부품 사건, 열출력증강사고, 제어봉 조작실패 등 크고 작은 사고와 고장 등으로 지역민들을 불안 속에 살게 했다.

이들은 사고가 발생하면 지원대책을 제시하며 재발 방지를 약속하였지만 제대로 지켜지질 않고 문제는 반복됐다.

한수원은 현안 사업을 우선 진행하고 추후 보상과 지원을 말하고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 다른 입장으로 변할 것이다. 지난 시간 지역기업체로 인정하며, 협의하고 소통하기 위한 지역민들의 노력은 허사였음은 온 군민들이 알고 있다.

이제 한수원은 확실한 안전대책과 지원대책을 제시하고 지역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한다. 정부와 한수원은 원전가동 40년 동안 각종 사고와 고장으로 인한 지역민들이 입은 피해대책 차원에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