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을 포함한 전남지역이 분산에너지 특구에 지정됐다. 정부는 6일 에너지위원회를 열어 7차 에너지이용 합리화 기본계획분산에너지특구로 전남과 제주·부산·경기 의왕 등 4곳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분산에너지특구는 지역 단위에서 생산한 전력을 해당 지역에서 소비하고, 전력망 부담을 줄이며 재생에너지·전기차·데이터센터 등 신산업을 유치하기 위한 국내의 획기적인 제도이다.

즉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전기가 만들어지는 곳에서 전기를 쓰는 지산지소형 전력 시스템으로 재생에너지 확대 시 증가하는 잉여전력이나 출력 대처 정책이다.

재생에너지인 태양광과 풍력 등으로 생산되는 전기를 송배전 시설을 이용하여 원거리로 이동시키는 현재의 방식에서 벗어나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기업들을 전기생산지 인근에 위치시켜 전기를 사용을 활성화하는 방안이다.

수요와 공급이 지역 단위에서 균형을 이루면 송전 거리가 줄어들고 전력 손실은 물론 송배전망 비용 등이 절감되기 때문이다.

특히, 현재 전기사업법상 발전·판매 겸업 금지가 예외 적용돼 분산에너지 발전 사업자와 전기사용자 간 전력 직접 거래가 허용되며 규제 특례가 적용돼 다양한 요금제와 전력 신산업 모델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22개 시군 모두가 포함된 전남은 태양광 보급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지만 송전 선로 부족으로 생산과 출력이 제한받고 있다.

태양광 발전소가 밀집한 해남·영암 지역에는 최근 LG에 이어 삼성 데이터센터 유치가 확정되고, 이어 SK까지 전남으로 자리 잡을 것이 확실해지면서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지역 내 생산시설과 인력이 투입되어 인공지능(AI) 기술로 전력 생산과 소비를 최적화하는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을 산업단지와 대학 등에서 다양하게 실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인구가 늘어나고 지역경제가 살아나면서 지역발전에 획기적 전환점을 만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영광군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지정으로 원전과 재생에너지 생산 최고지역을 최대한 활용하여 RE100 산단 유치를 목표로 정진하고 있다. 정부는 재생에너지를 100% 사용하는 RE100 산단을 전국 곳곳에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이 높은 영광군이 산단을 유치하면 수익사업 모델을 만들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최근 영광군이 국회에서 열린 ‘2025 참좋은 지방자치 정책대회에서 햇빛바람 기본소득 정책으로 국회의장상을 받아 희망을 열어가고 있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